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페이지하단 바로가기

경북관광두레 PD

이미지

김훈배 / 인턴PD

담당지역
구미
활동기간
2019년 6월 ~ 2021년 3월
관심/전문 분야
전)구미시립합창단 단무장, 구미케어 봉사단 단장, 금오공과대학교 구미시 평생교육원 외래교수
이력 혹은 소속
2019.2020 경북관광두레 인턴PD
  • Q. 관광두레 PD 활동에 참여하게 된 동기는 무엇인가요?
    관광과 두레를 아우르는 역할을 하고 싶었습니다. 유년기 부모님들이 이웃 사람들과 협력하여 일하는 모습을 보면서 두레의 가치를 알게 되었고 그날 그날의 일정을 조정하고 사람들을 구성하는 누나를 보면서 자랑스럽고 가치 있는 일이라고 생각 했었습니다(마을 피디 역할이었죠). 특히 모내기 철이 되면 1달이상 소요하면서 사람들의 욕구를 조정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과정에서 양보하고 배려하는 모습은 삶의 가치를 생각하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농경사회에서 공업이 중시되는 사회로 전환하면서 생산성과 효율성에 가치를 두는 기간에 공단 도시인 구미에서 보내면서 효율성과 아우름의 가치를 결합하고 싶었고 구미에 산재한 지난 시대의 사람들 이야기를 잘 담아서 전달해주는 거점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 Q. PD 활동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했던) 목표(지역 관광과 관련한)는 무엇인가요?
    회색에서 녹색으로의 변화입니다 이중환은 일찍이 택리지에서 조선 인재의 반은 영남에 있고 영남 인재의 반은 선산에 있다( 조선인재 반재영남, 영남인재 반재선산 朝鮮人才 半在嶺南, 嶺南人才 半在善山)"고 말한 적이 있는데, 현재 구미의 인식은 회색도시 이미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이어서 안타까움이 있습니다 페놀사건 3세아동 사건 수도권에 빼앗긴 일자리 구미의눈물 유튜브에 구미라는 검색어를 넣으면 상위에 올라오는 영상 재목입니다 이단어들을 보면서 택리지를 집필하던 이중환과 현대의 차이는 무었일까를 생각해 봅니다 79년도부터 지금까지 구미에 거주하면서 느낀 구미는 낙동강 칠백리중 백리를 흐르고 있으며 그 강줄기에서 삶의 터전을 가꾸는 주민들의 마음은 넉넉하고 남을 먼저 생각하고 행동하는 두레정신을 삶에 적용하고 있으며 공단에서 땀흘리는 근로자들은 근면하고 자조하며 협동하는 시민 이어서 그들의 삶을 왜곡없이 보여 주는역할과 도농 복합도시인 구미의 농촌지역 관광자원을 두레로 아우르는 디딤돌 역할을 하고싶습니다
  • Q. PD 활동 중 가장 어려웠던 점들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또 그것을 어떻게 극복하셨나요?
    완충지대 역할 이라고 생각합니다 욕구가 다르고 이권이 다른 집단 사이에는 분쟁이 있게 마련이고 차이가 존재하기 마련인데 각기 다른 이권을 최소화 하고 다름을 인정하고 양보하여 공존하게 하는역할 이라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구미시립합창단 단무장 역할을 수행하던 때가 있었는데 합창단원들의 요구와 행정가들의 요구가 달랐을 때 행정가를 만날뗀 행정가의 입장을 귀담아 들어주고 단원들에게 순화해서 알렸고 단원들의 욕구는 잘 걸러서 행정가에게 전달하여 완충역할을 수행했었는데 피디의 역할도 이와같다고 생각합니다 주민사업체 구성원들과 행정쪽의 각기다른 입장을 이해하고 완충역할을 적절히 수행하므로 좋은결과를 얻어낼수 있다고 생각하며 수행합니다
    Q. PD 활동을 통해 변화된 자신의 모습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전체를 아우르는 안목이 생겼습니다. 개인의 경제적인 이득도 중요 하지만 전체적인 유익이 무엇인지를 생각하는 안목이 생겼습니다 사람은 각각 다른 능력과 특성 그리고 안목을 가졌다는걸 이 일을 하면서 느낀 가장 큰 소득이었습니다. 구성원 들의 각각 다른 안목이나 능력이 좋은 성과를 가져왔고 저는 물론 구성원들 모두가 알고 체화되는 과정 이었습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라는 프로그램을 보면 어떤 주제를 두고 각각 다른 전문성이 프로그램의 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하는 요인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 Q. 관광두레사업으로 인해 지역과 주민들은 어떤 변화나 성과들이 나타나게 되엇을까요?
    개인의 이익보다는 지역의 이익을 우선시하고 기꺼이 양보 하는 겄이라고 생각합니다. 제 경험에 비춰본다면 하교 후 엄마가 집에 계시지 않아 배가 고파 고개를 떨구고 지나가는 나를 발견한 이웃 아주머니가 “엄마가 안계서서 배고프지?“라시며 하시던 일을 멈추고 나의 배고픔을 먼져 해결해주셨습니다 인사를 하면 인사를 잘한다고 심부름을 다녀오면 심부를 잘한다고 어깨를 다독여 주시고 엉덩이도 한번씩 쳐 주시던 모습은 아직도 눈에 선 합니다. 아이하나 제데로 키우기 위해선 마을 하나가 필요하다는 가치관과 내가 소중하듯이 타인또한 소중하다는 가치관이 바람직한 지역공동체 라는생각이 듭니다

레이어팝업

레이어팝업 내용


잠시만 기다려주세요.